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psr 이란

by 모정기2 2025. 9. 27.
반응형

psr 이란

📈 PSR (Price Selling Ratio) 이란 무엇인가요?

PSR은 기업의 **주가를 매출액**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. 💵

이는 **Price to Sales Ratio**의 약자입니다.

우리말로는 **주가매출액비율** 또는 **주당 매출액 대비 주가 비율**이라고 부릅니다. ✍️

특히 **신생 기업**이나 **성장 초기 기업**을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. 🌟

아직 이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의 **성장 잠재력**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
반응형

🧮 PSR의 계산 방법 (공식 이해하기)

PSR은 두 가지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 📝

1. 주당 가격 기준 공식

$$ \text{PSR} = \frac{\text{현재 주가}}{\text{주당 매출액 (Sales Per Share)}} $$

2. 시가총액 기준 공식

$$ \text{PSR} = \frac{\text{시가총액 (Market Capitalization)}}{\text{연간 총 매출액 (Annual Total Sales)}} $$

두 공식 모두 결과값은 동일합니다. 💯

예시를 들어 쉽게 이해해 봅시다. 💡

  • A 기업의 시가총액이 1,000억 원이라고 가정합시다.
  • A 기업의 연간 총 매출액이 500억 원입니다.
  • PSR은 1,000억 원을 500억 원으로 나눈 값입니다.
  • 따라서 A 기업의 PSR은 **2**가 됩니다.
  •  

📉 PSR 수치의 의미 해석

PSR 수치는 시장이 기업의 매출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나타냅니다. 🧐

PSR의 기본 의미

  • **PSR이 1이라면:** 주가가 연간 총 매출액과 같다는 의미입니다.
  • **PSR이 2라면:** 주가가 연간 총 매출액의 2배라는 의미입니다.
  • 이는 시장이 매출 1원당 2원을 주고 있다는 뜻입니다.

PSR이 낮을 때 (저평가 가능성)

  • **PSR < 1 (낮을수록):** 시장이 기업의 매출액 대비 **저평가**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  • 이는 매출액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는 뜻입니다.
  • 하지만 단순히 저평가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.
  • 매출액이 커도 **이익을 못 내는 기업**일 수 있습니다. ⚠️

PSR이 높을 때 (성장 기대감)

  • **PSR > 1 (높을수록):** 시장이 기업의 **미래 성장 가능성**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
  • 투자자들은 현재의 낮은 이익보다 **향후 폭발적인 매출 성장**에 베팅합니다. 🚀
  • 기술주, 바이오 기업 등 **성장주**에서 높은 PSR이 흔히 나타납니다.

⭐ PSR의 장점 및 유용성

PSR이 다른 지표보다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. 💖

1. 이익이 없는 기업 평가

  • PER(주가수익비율)은 **순이익**을 기준으로 합니다.
  • 하지만 기술 개발 단계의 기업은 **순이익이 마이너스(-)**일 수 있습니다.
  • 이런 경우 PER은 계산할 수 없습니다. 🚫
  • PSR은 **매출액**만 있으면 계산 가능합니다.
  • 이익은 없어도 매출액이 빠르게 증가하는 기업을 평가하기에 적합합니다.

2. 산업별 비교의 용이성

  • **이익률**은 기업의 회계 정책이나 세금 구조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.
  • 반면 **매출액**은 상대적으로 조작의 여지가 적고 안정적입니다.
  • 동일 산업 내 기업들의 **순수한 영업 규모** 대비 주가 수준을 비교하기에 좋습니다.

3. 경기 침체기 활용

  • 경기 침체기에는 기업들의 **이익이 급감**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이때 PSR은 이익 변동에 덜 민감하게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
⚠️ PSR 활용 시 유의점 (단점)

PSR은 만능 지표가 아닙니다. 한계가 있습니다. 🧐

1. 수익성(이익) 정보 미반영

  • PSR은 **매출액**만을 기준으로 합니다.
  • 기업이 아무리 매출이 많아도 **영업이익이 적거나 손실**이면 가치가 낮습니다.
  • **매출액 대비 비용**이 과다한 기업을 PSR만으로 걸러내기 어렵습니다. 📉

2. 산업별 격차

  • **산업 특성**에 따라 적정 PSR 수준이 크게 다릅니다.
  • 예: 이익률이 낮은 유통업은 낮은 PSR이 일반적입니다.
  • 예: 이익률이 높은 소프트웨어 산업은 높은 PSR이 일반적입니다.
  • 다른 산업 간의 PSR 단순 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. ⛔

3. 자산과 부채 미고려

  • PSR은 기업의 **자산 상태(PBR)**나 **부채 수준**을 전혀 반영하지 못합니다.
  • 과도한 부채를 안고 있는 기업도 PSR은 낮게 보일 수 있습니다.


📚 결론: PSR, 다른 지표와 함께 보자

PSR은 **미래 성장성**을 중요하게 보는 투자 지표입니다. 🚀

특히 기술주, 벤처 기업 등 **성장주 투자**에 필수적입니다.

하지만 **수익성(이익)**과 **재무 안정성(자산/부채)**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.

PSR을 활용할 때는 다음 지표들을 **함께** 고려해야 합니다. 🤝

  • **PER (주가수익비율):** 현재 이익 대비 주가 수준을 파악합니다.
  • **PBR (주가순자산비율):**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 수준을 확인합니다.
  • **ROE (자기자본이익률):** 매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이어지는지 판단합니다.

PSR이 낮으면서 이익률이 개선될 여지가 있는 기업이 좋은 투자 대상일 수 있습니다. 💡

---

면책 조항: 본 내용은 PSR 지표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며, 투자 결정은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.

반응형